- 1. 목적
-
수능 공부방은 학교 홈페이지를 활용한 e-Learning 교수ㆍ학습 지원 시스템을 구축하여, 교육방송의 다양한 서비스를 학습 자료화하여 교과별 과제물을 학교 수능 공부방에 탑재 하여 인터넷을 활용한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성화와 우수 교수학습센터의 학습자료 연구을 통하여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신장시키는 데 있다.
(가) e-Learning 학습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학교 홈페이지 교육환경 기반을 조성한다.
(나) EBS 교육방송 및 중앙교수학습센터의 학습 자료방에 쉽게 접속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학습 자료를 스스로 활용하여 개별학습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다) 학교 홈페이지 사이버 학습방의 수능공부방에 각 교과별로 제시된 학습 과제물을 개개인이 수행하도록 탑재한다.
(라) 인터넷을 활용한 교과별 과제 학습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에 적용한다. - 2. 활동내용
-
가. 교사
1) 각 교과별 EBS 교육방송 수강 계획표를 작성하여 학생들에게 배부하고, 확인한다.
2) 각 교과별로 과제물을 제작하여 학교 홈페이지 수능 공부방에 탑재한다.
3) 각 교과별로 과제물을 평가하여 수행평가에 반영한다.
4) 각 교과별로 학생들의 학습에 도움이 되는 교과별 교육용 컨텐츠를 학생들에게 안내한다.
나. 학생
1) EBS 교육방송 강의 시청 계획을 수립하고 시청한다.
2) 학교 수능 공부방에 탑재된 과제물을 각종 학습 컨텐츠를 활영하여 해결하고, 제출 한다.
3) 수행평가 결과를 확인한다. - 3. 추진계획
-
(가) E-Learning 개념도
-
(나) 추진방향
교사
- * 학습 자료 개발 : 탐구 과제 학습 자료, 다양한 학습 자료 확보
- * 학교 HOME PAGE 수능 공부방에 탑재
학생
- * 교실 수업
* EBS 강의 수강
* 학교 HOME PAGE 수능 공부장에서 과제물 다운로드 - * 과제 해결(중앙교수학습지원센터 활용)
평가
- *학생 - 담당교사에게 과제 제출
*교사 : 과제물 평가, 모범 답안 안내(학급게시판)
*Feed-back(자기 주도적 완전학습) -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
기대효과
- *학생들이 자기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과 탐구력 향상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 : 시간과 공간의 제약 극복
*자기 주도적 학습 :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자기 효능감 증대
*사교육비 절감 효과, 주5일 수업에 대비
- 4. 기대효과
- 학교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한 학교교육정보 공유체제 구축을 통해 교수ㆍ학습 방법 개선 및 학생들의 자율학습 여건을 조성하고 e-Learning을 활용하는 교과별 과제 해결을 통하여 정보화 사회에 대한 적응력을 높이고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이 향상 될 것이다.